임용시험개요
출제방향
-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수준 높은 양질의 문항을 출제
- 교사로서의 전문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
-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신뢰성이 있는 중등교사 임용 전형자료를 제공
근거법령
- 교육공무원법 및 교육공무원임용령
- 교육공무원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규칙
시험관리기관
- 시·도교육청 : 시행공고, 원서 교부 · 접수, 문답지 운송, 시험 실시, 합격자 발표
- 한국교육과정평가원 : 출제, 인쇄, 채점
시험시간 및 배점
- 출제위원선정
- 인력풀 등을 활용하여 후보자의 일정, 전공, 경력, 재직학교, 출신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
- 출제위원선정심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출제위원 선정 (출제위원 인력풀 상시 공모 )
- 대상 및 자격 : 전국 4년제 대학의 전임교원 중 중등임용시험 과목 전공자
- 인력풀 응모 : 본 홈페이지에서 '출제인력 공모'란 참고
- 출제원칙
- 중등학교 또는 중등특수학교 교사로서의 자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의미있게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중요한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
- 해당 교과에서 대학 4년 동안 가르치는 전반적인 내용 영역에서 기본적이고 보편타당한 내용으로 출제
-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관련지어 기초·필수적인 전공 지식과 내용에 비중을 두어 출제
- 각 전공의 교과교육학은 제7차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, 해당 교과의 교수-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 등을 중심으로 문항을 출제
- 특정 영역이나 학설(또는 이론)에 치우치지 않고, 해당 분야 전반에 걸쳐 고르게 출제
- 이해력과 적용력(분석력, 적용력, 종합력, 평가력 등의 고등정신능력)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출제
- 출제범위
- 1교시 : 교육학 또는 특수교육학
교육학 : 교육학 전 영역 교육사, 교육철학, 교육심리학, 교육사회학, 교육과정 및 평가,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,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, 교사론, 생활지도, 교육관계법 등
- 2교시 : 전공(교과교육학 + 교과내용학)
교과교육학(30~35%):제7차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에 포함되는 내용, 해당교과의 교수·학습방법, 평가방법 중심
교과내용학(65~70%):교육부고시2000-1호의 해당교과별 기본 이수 영역 또는 과목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
(특수:특수 교과교육학 + 특수교과 내용학 )
- 채점방법
-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정확한 채점을 업무 수행을 위한 채점시스템 운영
- 채점위원 워크샵, 가채점 운영, 채점기준의 수정·보완, 3인의 채점위원 별도 채점 등
- 채점절차

- 모범답안 및 채점기준 비공개
- "공공기관의정보공개에관한법률" 제9조제1항제5호의 규정과 "중등교사 신규임용 전형공동 관리위원회"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위탁한 사항에 따라 중등교사임용시험 「전공」주관 식 문항의 '모범답안'과 '채점기준' 은 비공개 원칙 준수
- 사법시험, 행정고시 등 국가고시의 주관식 문항의 채점기준과 모범답안도 비공개 원칙 준수